재개발·재건축으로 서울 단독주택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사진은 단독주택이 밀집한 서울 개포동 일대 전경. [매경DB]
# 땅을 매입한 뒤 오피스텔이나 상가 등을 지어 파는 부동산개발업자(디벨로퍼)인 50대 김 모씨는 지난해부터 서울 소재 단독주택을 여러 채 구입했다. 올해 초 빌라 분양으로 짭짤한 수익을 거둬 단독주택 두세 채를 허문 뒤 빌라를 지어 분양하기 위해서다.
주거 형태가 단독주택에서 아파트로 전환되면서 서울에서 단독주택이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수십 년간 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이 아파트 중심으로 이뤄진 데다 아파트는 공동으로 관리돼 대체로 주거환경이 깨끗하고 단독주택보다 치안도 안전해 아파트를 선호하는 사람이 많아져서다. 최근에는 단독주택 이점을 접목한 테라스형 아파트 등 이색 아파트도 속속 등장하면서 단독주택을 대체하고 있다.
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시에 단독주택을 새로 짓겠다며 건축 허가를 신청해 승인받은 건수는 389건에 그쳤다. 반면 같은 기간 소멸된 단독주택 수는 2991채에 달한다. 신축된 단독주택보다 10배가량 많은 셈이다. 지난해도 분위기는 비슷하다. 지난해 서울시의 단독주택 신축 허가 건수는 775건이었으나 허물어진 단독주택 수는 10배가량인 7229채였다.
전문가들은 서울 도심에서 단독주택이 자취를 감추고 있는 가장 큰 이유를 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이 수십 년간 아파트 중심 대량 공급으로 진행돼 왔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실제로 택지·신도시개발 등 도시개발사업에는 아파트 공급계획이 거의 예외 없이 포함돼 왔다. 정부로서는 낡은 단독주택을 허물고 그 위에 아파트를 지어서 대량으로 공급하는 게 더 효율적이다. 단독주택 밀집 지역을 여러 개 묶어 전면 철거한 뒤 새로운 주택을 짓는 재개발사업이 아파트 위주로 진행된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아파트를 선호하는 사람이 늘어난 요인도 단독주택 소멸을 부추긴다. 단독주택보다 아파트에 거주하는 게 주택 유지·관리 측면에서 훨씬 수월한 데다 보통 경비원이 단지 안에 상주해 보안도 안전한 경우가 많아서다. 실거주가 아닌 투자 목적으로 주택을 구입할 때도 단독주택보다 아파트 투자 가치가 더 높은 경우가 많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서울에서 단독주택에 거주하면 도난 등 보안 문제로 관리비용이 아파트에 살 때보다 더 많이 드는 데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고소득층이 단독주택에 살고 저소득층은 아파트에 거주하지만 우리나라는 고소득층도 아파트를 선호한다"며 "단독주택은 아파트보다 매매 거래 시 시간이 훨씬 오래 걸리는 경우가 보편적이라 환금성도 떨어진다"고 말했다. 앞으로도 서울 단독주택이 점점 사라지고 그 자리를 아파트가 채울 것이라는 게 그의 진단이다.
지난해부터 극심해진 전세난도 단독주택을 사라지게 만드는 요인이다. 아파트 전세금이 매섭게 치솟으면서 빌라, 연립 등이 대안으로 떠오르자 단독주택에서 빌라 등으로 재건축되는 건물이 급증했다. 고덕 주공 2·4단지와 삼익그린1차 등 재건축 이주 수요가 집중된 강동구가 대표적이다. 강동구에서 다세대·연립 수요가 증가한 현상은 통계에서도 나타난다. 4일 기준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강동구 소재 다세대·연립 매매 거래량은 지난해 10월 151건, 11월 143건, 12월 109건으로 거래량이 줄곧 줄어 내리막길을 걷다가 올해 2월 181건, 3월 319건으로 거래량이 한 달 새 거의 2배가량 급증했다. 특히 3월 거래량은 2006년 12월(572건) 이후 9년 만에 월 거래량 최고치(319건)를 기록했다. 이후에도 거래량이 크게 줄지 않아 지난 9월까지 매달 200건 이상 매매됐다.
강동구에서 10년 넘게 부동산 중개업을 하고 있는 천호동 독도부동산 이승연 대표는 "강동구 아파트 전세금이 매매가의 80~90%에 육박할 만큼 전세난이 가중되면서 단독주택 두세 채를 허물고 그 자리에 빌라를 신축하는 부동산 개발업자들이 급증하기 시작했다"며 "지난해 말 대비 강동구 단독주택 용지 가격도 3.3㎡당 평균 300만~400만원가량 올라 최근에는 2000만원대에 거래된다"고 전했다.